주식, 많이 어렵진 않더라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주식, 많이 어렵진 않더라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34)
    • 주저리주저리 (5)
      • 내 생각 (3)
      • 서평 (2)
      • 인생조언 (0)
    • 자산관리 (28)
      • 전문가의 지혜 (9)
      • 책에서 배우는 지혜 (12)
      • 꼭 알아야 할 지식 (7)
      • 상품분석 (0)
    • 주식이야기 (0)
      • 기업분석 (0)
      • 포트폴리오 전략 (0)

검색 레이어

주식, 많이 어렵진 않더라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자산관리

  • 삼프로TV-초보 투자자들을 위한 가이드(1-1)

    2020.08.16 by 곧어른

  • 자본잠식을 모르면 당한다

    2020.08.16 by 곧어른

  • 재무제표란?

    2020.08.15 by 곧어른

  • 재무상태표의 구조

    2020.08.15 by 곧어른

  • 손익계산서의 구조

    2020.08.13 by 곧어른

  • 삼프로TV_전업투자자 정채진(2-1)

    2020.08.12 by 곧어른

  • 삼프로TV_전업투자자 정채진(1)

    2020.08.12 by 곧어른

  • 강방천 회장_삼프로TV 출연 인터뷰(3)

    2020.08.05 by 곧어른

삼프로TV-초보 투자자들을 위한 가이드(1-1)

https://www.youtube.com/watch?v=cIvdEC-rQpY 주변에서 요즘 항상 듣는 이야기다. 요새 너도나도 주식한다, 주식 안하는 사람 없다. 왜 주식을 지금 시기에, 그것도 역병으로 인해 사회가 침체되는 시기에 시작하게 되었나. 98년 그리고 08년, 지난 20년을 통해 개미들은 꽤나 큰 학습을 하게 되었다. 위기가 곧 기회임을 투자에 문외한이었던 필자역시 동학개미운동을 보며 한심하다, 뭘 알고 저렇게 덤빌까 생각했었다. 외인들이 현금확보를 하기위해 열심히 매도를 하는데 개인이 어떻게 외인의 큰 현금흐름을 이길 수 있겠는가. 현재는 거의 두 배 오른 삼성전자 주식을 살 수 없어 떨어질 날만 기다리고 있다. 동전주나 변동주가 아닌 삼성전자는 어떻게 보면 변동성이 조금 큰 원화나 다름..

자산관리/전문가의 지혜 2020. 8. 16. 16:02

자본잠식을 모르면 당한다

자산 100억에 대해서 두 가지 경우가 있다고 가정 A : 부채 80억 + 자본 20억 B : 부채 120억 + 자본 (-20)억 A의 경우 자산에서 부채를 제외한, 자본 20억에 대해서 주주들의 몫이 있음 B의 경우 부채를 갚더라도 자본이 이미 (-)이므로 주주의 몫이 없음 이러한 경우를 자본잠식이라고 함 자본잠식은 상장폐지 사유 주주들에게 중요한 것은 '자산의 규모'가 아닌 '자본의 규모'임 자산에는 부채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보고 신뢰하는 것은 위험함 '총자산증가율'로 회사의 성장성을 판단해서는 안됨 주식의 개념은 자본에 대한 권리인데, 자본에 대한 권리를 일정하게 분할해둔 것을 '1주'라고 하는 것 출처 : 재무제표 모르면 주식투자 절대로 하지마라 (사경인)

자산관리/책에서 배우는 지혜 2020. 8. 16. 16:01

재무제표란?

의미 - 현 상태의 금액 기록이나 관리를 위해서 작성하는 표 -기업이 회계 연도가 끝나는 때에 결산 보고를 하기 위하여 작성하는 여러 가지 종류의 회계 보고서 - 기업 회계 원칙에 따라 작성되며, 기업의 경영 성적 및 재정 상태를 외부에 공개할 목적 종류 상법 기준 - 재무상태표 - 손익계산서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처리금계산서 기업회계기준 - 재무상태표 - 손익계산서 - 현금흐름표 - 주기 및 주석 손익계산서 일정기간 동안의 기업의 경영성과를 한눈에 나타내기 위한 재무제표 발생한 수익과 비용을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만든 자료 주식투자에 있어 가장 중요한 재무제표임 재무제표 중 분석이 가장 쉬운 편 즉, 투자를 하기 위해서 손익계산서를 보고 숫자에 담긴 의미만 깨닫더라도 큰 위험을 피할 수 있음

자산관리/꼭 알아야 할 지식 2020. 8. 15. 15:56

재무상태표의 구조

재무상태표의 구조 자산 = 부채 + 자본 자산에서 부채를 빼고나면 남은 것을 자본 혹은 순자산이라고 함 우리가 주식하는 주식은 '자본'에 대한 권리임 따라서 투자자입장에서는 '자본'의 규모가 중요함 '총자산증가율'로 회사의 성장성을 판단하는 것은 위험 자산이 증가한 것이 호재가 아닐 수도 있음 자산이 1000억이 넘는다고 안정적인 회사가 아닐 수도 있음 IFRS(별도) 년도 자산 A - 유동자산 - 비유동자산 - 기타금융업자산 부채 B - 유동부채 - 비유동부채 - 기타금융업부채 자본 A-B - 자산 : 돈이 되는 것 - 유동자산 : 1년 이내에 돈이 되는 것 - 비유동자산 : 1년 이상 걸려 돈이 되는 것 - 유동부채 : 1년 안에 갚아야 하는 것 - 비유동부채 : 만기가 1년이상 남은 부채 (유동자산..

자산관리/꼭 알아야 할 지식 2020. 8. 15. 15:30

손익계산서의 구조

손익계산서의 구조 수익과 이익 수익 : 총액 이익 : 순액 영업수익 = 매출액 영업이익 = 영업수익-영업비용 - 손익계산서에서는 수익, 비용, 이익 간의 관계를 보여줌 - 실제 재무제표는 보다 복잡함 수익 = 영업수익(매출액) + 영업외수익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는 경우 - 일반 제조업, 서비스업 : 영업외수익 - 은행, 대부업 : 영업수익 영업비용 vs 영업외비용 영업외비용 : 기부와 같이 순수하게 사용한 비용 영업비용 : 접대와 같이 목적을 가지고 사용한 비용 → 매출원가, 판관비(판매비 및 일반관리비)로 구분 법인세 법인세비용으로 기재 매출액과 당기순이익의 관계 영업수익(매출액) - (매출원가) = 매출총이익 영업수익(매출액) - (매출원가 + 판관비) = 영업이익 영업이익 - (영업외수익 + 영..

자산관리/책에서 배우는 지혜 2020. 8. 13. 17:45

삼프로TV_전업투자자 정채진(2-1)

Page2 / 11-2 / 2018.03.24 복리의 마법? 1900년 다우지수 65.74 2000년 다우지수 11947 이는 복리로 년 5.3% 수준임 동일한 원리로 시장이 성장하게 되면 2100년에는 다우지수가 200만에 육박하게 됨 복리의 마법과 시드만 있다면 누구든 부자가 될 수 있음 반드시 투자를 해야하는 이유 1. 장기적으로 경제는 성장, 우상향하기 때문에 복리의 마법을 실현할 수 있음 GDP의 경우 단기적으로는 하락할 수 있더라도 장기적으로는 성장함 주식시장은 우리나라에서 대단한 회사들만 모여있는 집단이므로 투자할만한 가치가 있음 국내에서 상장심사를 하는 기준은 까다로운 편 그 중에서도 좋은 종목들을 선별해내기 때문에 절차가 확실하다면 연 10% 수준의 수익은 기대할 수 있음 2. 인플레이션..

자산관리/전문가의 지혜 2020. 8. 12. 16:26

삼프로TV_전업투자자 정채진(1)

Page2 / 11-1 / 2018.03.24 정채진프로는 2003년 부터 투자를 시작 이라크전쟁 발발 - 유가상승 - 석유제품가격상승 - 그래서 케미칼 주식을 매매 이러한 단순한 상식으로 접근하여 공부를 시작 처음 접근한 종목 '좋은 사람들' 속옷에 자수를 놓는 사업을 하고 있었음 사업보고서에서 매장확장계획을 언급하고 있었고 이를 기반으로 사업의 확장성을 엿볼 수 있었음 사업확장이 크게 되고나서 매도하였음 이와 같이 발전가능한 종목을 발굴하고 투자가치를 판단하는 방법은 총 4가지가 있음 1. 트렌드를 만드는 회사, 유행을 만드는 회사 - 현재 돈을 많이 벌게 된 회사를 찾아야 함 - 셀바이오텍 - 원래는 밀가루를 만들던 회사, 당시에는 유산균 개발 및 판매 - 주변에서 유산균 제품을 추천받게 되었고, ..

자산관리/전문가의 지혜 2020. 8. 12. 16:18

강방천 회장_삼프로TV 출연 인터뷰(3)

https://www.youtube.com/watch?v=45i4Bi1nFNg (영상 요약정리> '봉수리메시'님 댓글) Q: 1400대이던 코스피가 2200이 되었다. 주식투자라는 것이 시기를 사는 것이라고 볼 때 언제 주식을 사야하나. 이번 폭락장에서 샀어도 빨리 팔거나 못 산 분들도 많은데 빠질때까지 기다려야하나. 타이밍을 어떻게 잡아야하나. ​ A: 나도 이렇게 많이 오를 줄 몰랐다. 코로나의 부정적, 긍정적 효과를 살펴보면, 기업의 시가총액은 이익과 PER로 결정됨. 코로나19로 매출 감소가 있었고 하반기도 감소할 것으로 예정됨(부정적효과). 다만 금리 인하로 주식투자를 활발하게 도와줌(긍정적효과). 무위험자산 대비 얼마큼의 투자 메리트가 있는가. 주식시장의 기대수익률이 가장 크다. 쉴 때는 됐지..

자산관리/전문가의 지혜 2020. 8. 5. 21:51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다음
TISTORY
주식, 많이 어렵진 않더라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